본문 바로가기

TIPS/TV

[TV]HDMI-CEC

728x90

HDMI-CEC(HDMI-ConsumerElectronicsControl)은 HDMI로 연결되는 각 기기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주는 기능이다.

삼성의 Anynet+나 LG의 심플링크등이 HDMI-CEC를 제공하게 해준다.

 

이 기능을 사용하게되면 간단하게는 전원이나 간단한 컨트롤부터 복잡하게는 리모컨 신호를 주고받게된다. 예를들어 TV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셋톱박스나 연결되어있는 미디어기기들(블루레이플레이어,Playstation등)의 전원이 켜지게 되거나 혹은 역으로 켤 수 있게되고, 리모컨만으로 해당기기를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리모컨만으로 컨트롤할 수 있기에 별도의 컨트롤러를 두지않고 TV의 리모컨만으로 컨트롤을 할 수 있는게 최대 장점이다.

 

이 HDMI-CEC는 일반 네트워크와는 살짝 다른데, INPUT을 받는 기기(보편적으로 TV나 모니터)가 서버가 되어 하위 객체를 연결하여 컨트롤하거나 컨트롤받게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V나 모니터가 HDMI-CEC기능(Server)을 제공하고, 이 기기에 연결되는 기기들도 HDMI-CEC기능(Client)을 제공며 HDMI-CEC사용 옵션이 활성화 되어있어야만 서로 쌍방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통신은 일반 네트워크와 비슷하게 Broadcasting을 통해 통신하게되며 특정 기기에 신호를 줄 수도 있다.

 

이름에 들어가서 알겠지만 이 기능은 HDMI로 연결되어있는 대상만이 사용가능한데, 보편적인 PC의 그래픽카드에서는 대부분이 지원을 하지않고 일부 사용가능한 그래픽카드가 존재는 하나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라즈베리파이의 경우 이 기능을 지원해 TV나 모니터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 기능의 최대 단점이라면 홍보문제인지 사용이 복잡해서인지 사용자도 많지않고 정보를 찾기가 쉽지않으며 기능자체에 에러복구가 없는경우가 있어 동작을 멈추게 되는경우가 종종발생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포스트에 좀 더 다뤄보도록 하겠다.

 

HDMI-CEC를 사용하면 셋톱박스나 미디어플레이어, 게임기등을 리모컨 하나만으로 컨트롤을하여 사용할 수 있어 훨씬 편하고 나은 미디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물론 환경의 변화로 TV하나만으로 끝낼 수 있는 세상이 와서 무의미할수도 있지만 사용할일이 있다면 한번쯤 사용해보는것을 추천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