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공유기 (5)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유기]iptime 공유기 DLNA 설정해도 TV에서 검색이 안되는 경우 공유기 서비스에서 미디어 서버를 설정하여 공유기에 연결된 저장장치(USB)에 저장되어있는 영상/음악/사진을 같은 네트워크 안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들에서 접근 할 수 있다. DLNA라고 불리우는 디지털 생태계를 이용하는것인데, 각 기기들이 DLNA를 지원하고, 각 기기들이 같은 네트워크안에 있다면 많은 설정 없이 간단하게 미디어들을 공유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일단 공유기설정페이지로 들어간다. 서비스 설정에서 미디어서버를 클릭하고 실행을 눌러준후, 미디어 파일들이 저장되어있는 폴더(상위폴더)를 선택해주고 미디어DB 수동 업데이트를 눌러준다음 우측하단의 적용을 누르면 DLNA 설정은 일단 끝난다. 해당기능은 같은 네트워크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동작하는데, 위 기능은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공유기]iptime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 필자는 ipTIME A8004ITL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글은 이를 바당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다운그레이드는 알 수 없는 오류를 발생시키기에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공유기를 잘 사용하는 와중에 프린터 자동인쇄 스캐쥴러를 만들어주려고 세팅을 하려고 오랫만에 entware를 켜는데 갑자기 안켜진다. 안되는 김에 펌웨어 버전을 확인해보니 12.X버전을 사용중이였고 최신은 14.X버전이길래 대충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를 돌렸다. 맙소사. 업데이트를 하고보니 entware 기능을 찾을수가 없다. 홈페이지에서 다른 공유기의 패치내역을 보니 entware가 14.X버전에서는 빠지게 되었다. 짐작가는 이유는 여럿있지만... 뭐 빼겠다는데 어쩌겠나.(CPU펌웨어 업데이트를 못하는건 아쉽지만) 12.X버전의 .. [공유기]iptime URL서비스 검색차단 iptime의 URL서비스는 해당 공유기에 연결되어있는 스토리지에 WEB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아주 편리한 기능이다. WEBUI로 접속을 하여 스토리지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고, 다운받거나 이용이 가능해지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iptime의 URL서비스는 lighttpd로 동작을 하며,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기에 해당 공유기의 IP나 HOSTNAME, 연결된 도메인만 알 수 있다면 누구나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렇게만 말하면 어려워 보이지만 구글 검색만 하더라도 바로 나오는게 iptime의 공유기/NAS의 주소들이다. 특히 버전별로 공통된 디렉터리 구조를 가지고있기에 키워드 유추하는것조차 간단하니 열린문이 따로없다. 접속하기만하면 하위 디렉터리들의 리스트와 파일들을 이용할 수 있다. 문제는 li.. [공유기]기가콤팩트(혹은 기가라이트) 100mbps고정문제 근래에 지어지는 아파트들의 단자함에는 없는게 없다. 전원콘센트부터시작해서 공유기까지. 하지만 원가절감이라는 이름하에 아무것도 없는 그러한 단자함도 있다. 우리집이 그러하다. 인터넷 쓸거면 기왕쓸거 항상 최고속도를 고집하여 사용해왔고, 별 불편함없이 잘 쓰고 있었으나 방에 컴퓨터 두대를 연결하면서부터 문제가 발생하였다. 공유기를 여러대 가지고 있었으나 전부 100mbps공유기였던것이다. 기가콤팩트(500mbps)를 사용하는데 100mbps라니... 큰맘먹고 그동안 봐오던 기가비트 공유기를 주문하고 연결을 해보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연결속도가 100mbps에서 고정이되어버린것이다. 1Gbps로 강제로 설정하게되면 연결이 끊기고 만다. 원인이 무엇인고 찾아보니 거실에 있는 모뎀(정확히는 허브)에서 나오는 선.. [공유기]iptime에서 entware설정 (opkg/repository 관련 이슈-mips/mipsel CPU) 세상이 좋아져서 그런지, 공유기의 스펙도 빵빵해지고 부수적인 기능들이 여럿 추가되고있다. 그중 하나. 제약적이기는 하나 리눅스머신처럼 사용할 수 있게 나온것이 entware인데 iptime공유기에서도 지원을 하기에 한번 체험해볼겸 설정을 해보았다. (※entware를 설치하려면 저장장치가 ext파일시스템으로 포멧이 되어있어야한다.) 여기까지만 설정하면 일단 기본적인것은 끝이다. 이제 해야할것은 putty등 터미널프로그램(window telnet등)을 사용하여 telnet으로 entware에 접근을 하면된다. 이러면 모든것이 끝! 이라 생각하면 좋지면 문제가 하나가 있다. entware의 repository가 작년말에 http를 사용하다가 https를 사용하게끔 변경이 되었다.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http.. 이전 1 다음